![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5/19_25_1_25_blog33954_attach_0_66.jpg?original)
일액현상(溢液現象, guttation)
식물은 기공의 증산작용을 통하여 온도조절의 기능도 갖게 된다.
아침에는 일액현상이 발생한다. 잎의 맨 끝에는 구멍이 나 있다.
이 구멍을 통하여 수분이 배출되는 현상은 밤에 이뤄진다.
낮보다는 밤에 증산에 의한 수분소실량이 적게 되어
식물체 세포내에는 수분에의한 압력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압력의 과다를 막기 위하여 식물체 스스로 물을 밀어내는 현상이 일액이다.
소위 아침이슬이란 이러한 현상을 지칭한다.
물론 비가 오거나 안개로 인하여 물방울이 맺히기도 하지만
이런경우에는 나뭇잎이나 식물체 전체에 수분방울이 형성되나
일액 현상에 의한 것은 잎새 가장자리에 한방울씩 맺혀있는 형상이다.
(네이버 지식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