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음 희망 사랑729 완덕이란 무엇인가 1 그리스도교 완덕이란 무엇인가 ? 마테 5,48 ; 루까 6,36 I. 완덕의 개념 1. 역사상 다양한 완덕의 이해 완덕이라는 개념을 이해하는 데에는 일반적으로 여러가지 접근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그 각각은 각기 다른 철학적 혹은 신학적 출발점을 가지고 있다. ㄱ) 아리스토텔레스는 완덕(완전성)을 인간 존재의 충만성으로 부터 정의한다. 완전이란 "그 속성상 아무 것도 부족하지 않은 그 어떤 것" 이며, 이러한 의미는 그 최종목적을 획득하기 위한 덕과 질서에 따른 존재와 행동양태에까지 확장된다 . 완전성의 주제에 대한 이러한 접근방법의 그리스도교적 해석은 일반적으로 하느님 관상으로 고려되는 인간의 최종 목적에 강조점을 두었다. 궁극적인 행복은, 그러므로, 인간이 전생애를 통하여, 하느님과의 관상적 일치에 있.. 2008. 2. 20. 영광을 위하여 사순 제2 주일(가해) 곧 다가올 죽음을 생각하지 못하고 오직 영광만을 바라며 그 속에서 떠나지 않으려고 세상 속에 갇혀 살고 있는 우리의 모습은 오늘 복음에 나오는 베드로의 모습과 다를 바가 없다. 우리는 희생보다는 편안함을 바라고, 형제들을 사랑하기보다는 형제들이 나를 사랑해 주기를 더 기대한다. 그리고 우리가 가지고 있는 것을 나누어주기보다는 더 갖기를 열망하고 사회적 위치나 부귀영화에 연연하여 참된 그리스도인이 되기를 두려워하는지도 모르겠다. 사순절을 지내고 있는 우리는 이제 우리의 삶의 중심을 하느님께로 옮기고 회개와 보속의 시간을 가지면서 극기와 희생으로 이웃과 진정으로 나누는 삶을 살도록 노력해야 하겠다. 오늘 제1 독서의 아브라함의 이야기는 우리를 그러한 삶으로 초대하고 있다. 아브라함 역.. 2008. 2. 17. 광야로 나가자 사순 제1 주일(가해) 오늘 복음에서 예수께서는 성령의 인도를 받아 광야로 나가셨다. 광야는 어떠한 곳인가? 한 마디로 생존의 조건이 갖추어지지 않은 곳이다. 광야에서 인간은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하느님을 가까이 할 수 있는 곳이다. 자신의 무능력을 체험하기에 전능하신 하느님을 찾게 되고, 또 조용히 자기 마음 안에서 들려오는 그분의 말씀에 귀기울일 수 있는 은총의 장소이다. 그러한 곳에서 예수는 유혹을 받으셨다. 역설적이라고까지 할 수 있는 이 사건은 유혹이 결코 외부로부터만 주어지는 것이 아님을 생각하게 한다. 내 마음 안에서 악마는 오늘도 나를 유혹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IMF 한파가 한창이던 때에 외국의 어느 언론사에서는 각국의 국민들이 느끼는 행복도를 조사했다고.. 2008. 2. 10. 이전 1 ··· 119 120 121 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