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2mm113

미국미역취 북아메리카 원산인 식물이다. 서양금혼초, 양미역취, 미국미역취 등 3개종이 매우 강한 밀집식생력으로 생태계를 교란할 위험이 높게 나타났다고 국립환경과학원이 발표(관련 기사)할 정도로 재배를 권장하지 않는 식물 중의 하나다. 2015. 7. 13.
돌나물 돌나물은 돌나물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이다. 한국 원산이다. 돈나물이라고도 부른다. 뽑아서 아무 데나 버려 두어도 곧 뿌리를 내려 살아날 정도로 번식력이 매우 강하다고 한다. 이른 봄에 김치를 담가 먹거나 어린 순을 나물로 무쳐 먹는다. 2015. 6. 21.
수레국화 개양귀비 찍으러 간 곳에서 수레국화가 먼저 눈에 띠었다. ^^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로, 높이 30~90cm 정도까지 자란다. 유럽 동부와 남부 원산이며 독일과 에스토니아의 국화이다. 색깔이 매우 다양하다고 하는데 나는 지금까지 파란색 꽃만 있는줄 알았다. 2015. 6. 18.
노랑꽃창포 올해 남강변을 걸으면서 가장 많이 찍은 꽃이 아닌가 싶다. 인공으로 식재된 것이든 자생하는 야생화이든, 강변을 걷고 뛰고 자전거를 달리는 모든 사람들에게 상쾌함을 전해주는 고마운 꽃이었다. 2015. 6. 16.
바늘꽃 바늘꽃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산골짜기의 습지에 사는데, 한국 각지 및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남강 둔치의 이 바늘꽃들은 아마도 식재된 것이 아닐까 싶다. 2015. 6. 15.
동양하루살이 암컷 하루살이 종류가 아주 많다는 것을 검색하면서 알게 되었다. 확실히 관심을 가지는 만큼 보이고, 보는 만큼 알게 되는 법이다. 꽃과사람 사이트에서 큐가든님이 동양하루살이 암컷으로 동정해주었다.일명 '팅커벨'이라고 불리는 동양하루살이는 깨끗한 물인 2급수 이상의 하천이나 계곡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5~6월경 집중 발생되는 대형 하루살이이다. 2015. 6. 9.